15.5 C
Seoul
2024년 10월 30일 수요일

‘학생’ 빠진 학생사회 … 이제라도 적극성 되찾아야

얼어붙은 학생자치 활동이 좀처럼 되살아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하면서 등교 인원이 감소하고, 온라인 학사운영이 이어지면서 학생자치 활동은 직격탄을 맞았다.

전국적으로 총학생회 출범 없이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로 학생활동이 운영되는 대학도 적잖다. <이데일리> 보도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주요 대학 35곳 중 14곳이 비대위 체제로 운영됐다. 올해도 건국대, 국민대, 서울여대, 숙명여대, 연세대 등이 유효 투표율을 달성하지 못해 총학생회 발족이 불투명해졌다.

비대위는 총학생회의 궐위로 인해 학생자치 업무를 임시로 맡아 수행하는 기구다. 이 때문에 학생회비 사용이나 중앙운영위원회 소집 불가 등 제약이 따른다. 비대위 체제로 운영되면 학생자치활동이 소극적으로 전개되며 이는 자연히 학생 권리 축소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연이은 선거 부결과 낮은 투표율

우리 대학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지난해 11월 실시한 제63대 총학생회장 선거가 연장 투표에도 불구, 유효 투표율 35.87%로 최종 부결됐다. 이에 방학 중 재선거가 시행됐지만 역시 투표율이 50%를 넘지 않아 이틀간 연장 선거를 했다.

2021학년도와 2022학년도도 마찬가지였다. 제61대, 제62대 총학생회장 선거 당시에도 본 선거 투표율이 50%를 넘기지 못했고 이후 시행된 재선거에서 아슬아슬하게 총학생회 출범이 확정됐다. 이렇듯 우리 대학은 매번 총학생회 발족에 난항을 겪고 있다. 선거관리위원회를 비롯한 학생자치기구의 홍보에도 재학생들의 관심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학생자치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우려가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학생사회에서 정작 ‘학생’의 참여는 날이 갈수록 줄고 있다. “이미 취업사관학교가 된 지 오래인 대학에서 학생들이 얻고자 하는 것은 높은 학점과 좋은 스펙뿐”이라는 자조 섞인 이야기도 과장이 아니다.

당장 눈앞의 현실을 좇느라 학생자치는 뒷전인 셈이다. 학생자치에 관심 두지 않아도 당장 손해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4년간 몸담은 학교가 나아갈 방향을 결정하는 것도 학생들의 몫이다. 학생이 주인이 되지 못한 대학 사회는 결국 붕괴할 것이다. 학내 변화와 발전은 학생 스스로의 관심과 참여가 있어야 비로소 결실을 볼 수 있다.

우리는 과연 이 대학의 주인인가? 손님인가? 대학이라는 작은 사회에서 우리의 역할에 대해 깊이 생각해봐야 할 때다. 주인의식을 되찾아 진정한 ‘학생사회’를 이뤄야 한다. ‘학생’이 빠진 학생사회는 존재가치가 사라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참여하는 사람은 주인이오, 그러지 않는 사람은 손님”이라는 도산 안창호 선생의 고언이 더욱 가슴에 새겨지는 요즘이다.

저작권자 ⓒ 삼육대 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학 - 보도, 기획